Database

pgAdmin 4 활용

torukmakto 2023. 5. 27. 18:16

분석을 위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PostgreSQL DB에 Database를 만들고

Table을 추가 하는 작업을 해 보겠습니다.

 

PostgreSQL을 설치 하면 'pgAdmin 4' 라는 tool 이 같이 설치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Database와 Table를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pgAdmin 4' 로고 화면

 

pgAdmin 4에 접속하면 먼저 아래와 같이 'master pasword'를 묻는 화면이 나오는데,

DB 설치 시 설정했던 pasword를 입력해 줍니다.

 

'pgAdmin 4' 로그인 화면

 

로그인 하게되면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화면이 보입니다.

 

'pgAdmin 4' 기본 화면

 

왼편에 보이는 'Database' 항목 아래에 기본으로 설치된 2개의 Database를 볼 수 있고,

이곳에 추가로 Database를 만들고 Table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먼저, 'Database' 항목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리하여 'Create >> Database'

를 선택해 줍니다.

 

Database 생성 (1)

 

클릭 후 아래 화면이 나오면, 'Database' 항목에 원하는 이름을 넣고 'Save' 버튼을

클릭합니다.

 

Database 생성 (2)

저는 'superset' 으로 입력하였고 아래와 같이 새로운 Database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생성된 Database

 

이제, 생성된 Database에 Table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입력 대상 데이터로는 통계청에서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총괄' 이라는 자료를

엑셀 형식으로 download 받았습니다.

 

대상 데이터: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총괄

     (출처: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019_001_1TM1011X&vw_cd=MT_ZTITLE&list_id=B_9_001_00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입력 대상 데이터 -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총괄

 

상기 데이터를 보면 2022년 4월 부터 2023년 4월 까지 연령 별 경제활동 인구에 대헤

정리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상기 자료 중 엑셀 row 4 ~9 까지를 대상으로 Table 생성 및

만들어 진 Table에 Data 입력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Superset' 아래에서 'Schemas >> public >> Tables'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Create >> Table...'을 선택합니다.

 

Table 생성 화면 (1)

버튼 클릭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Table 'Name'을 입력해 줍니다.

저는 'econ_act_popul'로 입력하였습니다.

 

Table 생성 화면 (2)

 

다음, 상기화면의 'Column' 탭을 선택하고 생성할 Table의 Column Name과 속성을 

설정해 줍니다. (아래 참조)

 

Table 생성 화면 (3)

 

엑셀 파일 기준, 연도와 월을 'date' column으로 설정해 주고 '연령대(age_grp)'와 함께 

Primary key(PK)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Table 생성 시, 컬럼 별로 어떤 Data Type으로

해야 할 지 궁금할 때에는 아래 정보를 참고하여  결정하면 됩니다.

 

PostgewSQL Data Types: https://www.postgresql.org/docs/current/datatype.html 

 

Chapter 8. Data Types

Chapter 8. Data Types Table of Contents 8.1. Numeric Types 8.1.1. Integer Types 8.1.2. Arbitrary Precision Numbers 8.1.3. Floating-Point Types 8.1.4. Serial …

www.postgresql.org

 

최종, 아래와 같이 'econ_act_popul'  이라는 이름으로 Table 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해당 Table의 Column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able 생성 결과

 

Table 생성도 완료 되었으니, 엑셀로 받아두었던 자료를 해당 Table에 Import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gAdmin 4'를 이용해 'csv' 혹은 'txt' 형태의 자료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먼저, download 받았던 엑셀 파일을 생성한 Table의 column 순서에 맞게

'csv' 파일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Date' 컬럼형태에 맞게 일자는 '25일'로 일괄 부여 하였으며, 원본 자료에는

기본 단위가 '천명' 이었으나, 입력용 자료에는 모두 'x1000'을 한 값으로 생성).

 

입력을 위한 'csv' 파일

 

'csv' 파일이 준비되었으면, 아래와 같아 대상 Table을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Import/Export Data...'  항목을 선택합니다.

 

Data Import 항목 선택

 

상기 항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Import'를 선택하고

만들어 둔 'csv' 파일을 지정해 준 다음, Format은 'csv'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Data Import 화면

 

'Import'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 됩니다.

 

Data Import 완료 메시지

 

Table에 'Import'된 Data에 대한 확인은 대상 Table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항목들 중 아래 부분에 있는 'Quiry Tool' 을 선택한 후, 나오는 화면에서

SQL 문을 실행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csv' 파일에 있던 자료들이 Table에 잘 입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